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2005-3231

초등상담연구, Vol.18 no.3 (2019)
pp.367~386

DOI : 10.28972/kjec.2019.18.3.367

한국판 아동용 완벽주의 척도(K-AMPS)의 신뢰도와 타당도

김규원

(금성초등학교)

홍상황

(진주교육대학교)

이 연구는 Rice와 Preusser(2002)가 개발한 아동용 적응적-부적응적 완벽주의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1,071명의 아동들을 대상으 로 AMPS와 8가지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SPSS 20.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신 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 적,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에서 AMPS는 3가지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진 요인구조가 가장 적합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판 AMPS 전체 문항의 내적 합치도와 3가지 하위요인의 내적 합치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MPS는 아동청소년 완벽주의 척도(K-CAPS)와 유의 미한 정적 상관, 완벽주의의 부적응적 하위요인인 실수 민감성은 우울, 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분노표현과 정적 상관, 적응적 하위요인인 인정욕구와 강박성은 자아존중감, 자 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완벽주 의 점수의 평균 차이를 비교한 결과, 완벽주의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 6학년이 4, 5학년 학 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수 민감성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우울, 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분노표현, 자기자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Adaptive/Maladaptive Perfectionism Scale

Gyu-Won Kim

Sang-Hwang H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daptive/Maladaptive Perfectionism Scale for children (AMPS) developed by Rice and Preusser(2002). We collected data on 1,071 elementary school children (grades 4~6) using eight scales to examine AMPS and validity, and used SPSS 20.0 and AMOS 20.0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s that the K-AMPS was found to be most suitable for the factor consisting of three factors. Seco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AMPS total items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hree sub-factors would be indicative of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Third, nine validity indices used to examine AMPS’s concurren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result shows that K-AMP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K-CAPS. And ‘Sensitivity to Mistake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nger expressions. ‘Need for Admiration’, ‘Compulsivenes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elf-efficiency. Fourth, we analyzed difference of perfectionism tendency depends on gender, grade and average between measures depends on perfectionism subfactor score. The result shows that perfectionist score is higher for girls than for boys and higher for sixth graders than for fourth and fifth graders. Group with high ‘Sensitivity to Mistakes’ revealed higher score on depression,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ger expression and self-compassion than group with low ‘Sensitivity to Mistakes’. In contrast, group with high ‘Compulsiveness’ revealed higher score on self-esteem.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limitation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