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2005-3231

초등상담연구, Vol.19 no.1 (2020)
pp.87~104

DOI : 10.28972/kjec.2020.19.1.087

한국판 아동용 향유신념 척도(SBI-KC)의 타당화

박지영

(갈전초등학교)

이영만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이 연구는 Cafasso와 Bryant(1994)가 개발한 아동용 향유신념 척도(CSBI)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한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6학년 1,09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9.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아동용 향유신념 척도가 2∼3개의 요인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서 교차 부하가 일어난 문항은 제외하고 2개의 요인과 3 개의 요인을 구성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개의 요인 모형 적합도와 원척도에 비 해 교차부하 된 세 문항을 제외한 3개의 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더 좋은 수치를 보였다. 3개 의 요인은 Bryant(2003)의 연구와 같이 ‘과거회상’, ‘현재향유’, ‘미래기대’로 명명하였다. 셋째, 한국판 아동용 향유신념 척도의 전체 문항과 하위요인별 내적 합치도는 모두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값은 양호하였다. 넷째, 향유신념의 요인과 타당도 측정 도구 들 간의 상관에서 향유신념은 낙관성, 행복감, 긍정적 정서와는 정적 상관, 무력감, 스트레스,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어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이는 향유신념 척도의 점수가 높은 아 동은 긍정적 정서를 부정적 정서보다 더 많이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에서 아동의 향유신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타당화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Validation of the Savoring Beliefs Inventory for Korean Children

Ji-yeong Park

Young-Man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of the Children’s Savoring Beliefs Inventory(CSBI) developed by Cafasso and Bryant(1994). For this purpose, research data from 1,096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SPSS 19.0 and AMOS 20.0 were using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Savoring Beliefs Inventory for Korean Children(SBI-KC) had 2∼3 factors. Items with cross loading from 2∼3 factors were excluded. Seco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fit of the three-factor model excluding the cross loading items was better than the two-factor model and the original scale. The three factors were ‘reminiscence’, ‘savoring the moment’, and ‘anticipation’ respectively which corresponded to Bryant’s study(2003). Thir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SBI-KC’s items and the sub-factors were all high,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rrelation was relatively stable. Fourth, i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of savoring beliefs and the validity measures, the savoring belief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optimism, happiness, and other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helplessness, stress and depression. Researchers interpreted that children with high scores on SBI-KC perceived more positive emotions than negative emo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d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it validated the instrument to measure SBI-KC.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