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2005-3231

초등상담연구, Vol.20 no.4 (2021)
pp.427~449

DOI : 10.28972/kjec.2021.20.4.427

미술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윤선아

(서울강명초등학교)

김광수

(서울교육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 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G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을 대상으로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 감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집단(18명)으로, 동질성이 확보된 다른 1개 학급(18명)을 통제집단 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5주간 총 10회기의 미술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별도의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이 끝난 후에는 두 집단 모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5.0을 사용하여 검사지 반응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의 설문 지, 회기별 아동의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였다. 집단 간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검사지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비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 의 하위요인 중 과잉 염려 및 회피 신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과다한 자기 기대 신념, 이분법적 신 념, 결정론적 신념, 과잉 의존 신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미술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 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 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아동의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아동은 미술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생각과 감정, 행동이 연관되어 있음을 깨닫고 실생활에서 생각 바꾸는 방법을 활용해 비합리적 신념을 줄여나갔다. 또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자신의 장점을 확인하고 주장을 표현하면서 가정과 학교에서 경험하는 자신의 능력과 가치에 대한 판 단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술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비합리적 신념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Therap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rrational Belief and Self-Esteem

Yoon, Sun A

Kim, Kwang S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s using art therapy on Irrational beliefs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selected one class as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homogeneous class as control group among three classes of fifth grader students at G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0 sessions of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therapy for five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After the experiment, both groups conducted post-testing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test site response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5.0, and questionnaire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session-specific children's comments and researcher’s observations were analyzed. A covariate analysis(ANCOVA) was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irrational beliefs and self-esteem among group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s using art therapy significantly reduced excessive concerns and avoidance among sub-factors of irrational beliefs and irrational beliefs compared to control groups. However, excessive self-expectation beliefs, dichotomous beliefs, deterministic beliefs, and over-dependence belief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s using art therapy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overal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domestic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which are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self-esteem compared to control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children's impressions and researcher's observations, children were able to reduce irrational beliefs by realizing that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s were related while participating in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s using art therapy. In addition, the judgment of one's ability and existence experienced at home and at school has changed positively, identifying one's strengths and expressing one's arguments in many ways. These findings show that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s using art therapy have been effective in reducing children's irrational beliefs and improving self-esteem. The development of follow-up programs to maintain positive changes and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various variables of the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therapy are proposed as future research tasks.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