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2005-3231

초등상담연구, Vol.21 no.2 (2022)
pp.205~228

DOI : 10.28972/kjec.2022.21.2.205

코로나19 시기 초등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혜랑

(서울신서초등학교)

정애경

(경인교육대학교)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초등교육 현장에서 초등교사들이 생활지도에서 경험한 것은 무엇 이며, 생활지도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의 초등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코로나19 이후 등교 수업과 비대면 수업이 병행 되는 교육 현장에서 무엇을 경험했는지 탐색하였다. 전체 참여자의 공통적인 특성을 도출하 는데 중점을 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42개의 구성된 의미와 14 개의 주제, 6개의 주제 모음을 도출하였으며, 코로나19 시기 초등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의 본 질은 ‘시행착오와 노력 가운데 생활지도의 의미와 중요성을 새롭게 깨닫고, 학교의 역할을 고민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활지도 방 향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chool Guidanc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ring COVID-19

Hye-Rang Kim

Ae-Kyung Jung

This study explored w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in school guidance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For this purpose, we performed a phenomenological study by collecting in-depth interview data from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asking what they experienced in the elementary school during COVID-19 regarding school guidance. In particular, we applied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data analysis, which focused on derivi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all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42 formulated meanings, 14 themes, and six theme clusters were derive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was “the newly recognized meaning and importance of school guidance, deeper consideration on the roles of school, through trials and effor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s of school guidance in the post-COVID-19 era.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