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2005-3231

초등상담연구, Vol.22 no.4 (2023)
pp.395~412

DOI : 10.28972/kjec.2023.22.4.395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교사 애착안정성과 우울 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송수원

(인천은송초등학교 교사 / 연세대학교 아동ㆍ가족학과 박사과정)

홍지연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인간생애와 혁신적 디자인 석ㆍ박사 통합과정)

박주희

(연세대학교 아동ㆍ가족학과 / 인간생애와 혁신적 디자인 교수)

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교사 애착안정성과 우울 간 장․단기적 상호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 중 초등학교 4학년(1차년도), 5학년(2차년도), 6학년(3차년도) 자 료를 활용하였으며, 4학년 기준 2,607명(남아 1,313명, 여아 1,294명)이 자료분석에 포함되었다. 아동의 성별과 초등학교 4학년 시기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를 통제변인으로 분석에 포함시 켰다. 연구 결과는 첫째, 최종모형은 CFI=.974, TLI=.965, RMSEA=.042로 양호한 수준의 적합 도를 보였다. 둘째, 자기회귀효과와 관련하여 각 해당 시점의 아동-교사 애착안정성과 우울이 모두 1년 후 아동-교사 애착안정성과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차지연효과와 관 련해서는 각 해당 시점의 아동-교사 애착안정성이 1년 후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해당 시점의 우울 수준이 1년 후의 아동-교사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 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아동의 우울이 지속되거나 악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담임교사가 학급에서 학생과의 안정적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A Verif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between Child-Teacher Attachment Stability and Depression in Late School-Aged Children

Su Won Song

Jeeyeon Hong

Ju Hee Park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ciprocal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child-teacher attachment stability and depression from 4th to 6th graders by apply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participants were 2,607 children(1,313 boys and 1,294 girls) from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tudy 2018,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and 1st through 3rd waves of the KCYPS 2018 data from 2018 to 2020 were used. The gender of children and the par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the 4th grader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s control variables. First, the final model’s goodness-of-fit was verified as acceptable, with CFI=.974, TLI=.965, and RMSEA=.042. Second, regarding autoregressive effect, both child-teacher attachment stability and depression at each ti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teacher attachment stability and depression after one year. Third, regarding cross-lagged effect, the longitudinal effect of child-teacher attachment stability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 while the longitudinal effect of depression on child-teacher attachment stability was no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mportance of homeroom teacher to form a stable attachment with students in order to prevent children’s depression from continuing or worsening. Especially, it was confirmed that even if the homeroom teacher changes, the stability of child-teacher attachment has a cross-lagged effect not only on depression at that point of time but also on depression of the next grade.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