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2005-3231

초등상담연구, Vol.23 no.3 (2024)
pp.381~415

DOI : 10.28972/kjec.2024.23.3.381

마음학기제 운영을 위한 마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정서조절 향상을 중심으로

최준섭

(대구교육대학교)

선영운

(대구교육대학교)

이 연구는 코로나19 유행 기간 초등학생이 경험한 심리정서적 어려움의 회복을 위해 2025학년도부터 대구 광역시교육청에서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전국 최초로 실시하는 마음학기제에서 활용할 마음교 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현장 전문가 대 상 초점 집단 면접(FGI)을 토대로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마음교육 프로그램(15회기)을 구안하였 다. 프로그램 효과를 양적 검증하고자 대구광역시 소재 11개 초등학교 5학년 1,313명(실험군 7개교, 741명, 대조군 4개교, 572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 부정 정서, 디지털 중독, 학업적 그릿, 대인관계능력, 또래관계, 회복탄력성의 사전,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T-test, ANC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효과검증을 위해 프로 그램 운영 교사의 학생 관찰 경험(FGI), 가정에서 자녀를 관찰한 학부모 경험을 수집, 분석하였다(Word Cloud). 연구결과, 마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서조절(인지적 수준 제외), 대인관 계능력, 회복탄력성(긍정적 지지관계 제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질적분석 결과, 교사는 초등학생 의 정서조절, 대인관계능력, 또래관계에서, 학부모는 자녀의 정서조절, 부정 정서, 대인관계능력, 또래관계 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고하였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초등학생의 심리정서 회복을 목적으로 실시되 는 마음학기제 관련, 학교 현장에 적합한 마음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프로그램 효과를 학생, 교사, 학 부모 대상으로 양적, 질적으로 함께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a Mind Education Program for Operating the Mind Education Semester : Focusing on Improving Emotional Regulation

Joonsup Choi

Youngwoon Se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a mind education program for fif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be used in the Mind Education Semester, which will be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by th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rom the 2025 school year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ver from the psycho-emotional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irst, a mind education program (15 sessions) aimed at improving emotion regulation ability was designe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field experts. To quantitatively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1,313 fifth graders from 11 elementary schoo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This included 741 students from seven school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72 students from four schools in the control group. To verify the qualitativ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observations of students by teachers who led the program and from parents observing their children at home. The t-test and ANCOVA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regulation (excluding the cognitive dimens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resilience (excluding positive suppor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teachers observed improvements in their students' emotion regula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eer relationships. Similarly, parents reported enhancements in their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reduction of negative emotion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eer relationship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