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검색
pISSN : 2005-3231
초등상담연구, Vol.23 no.4 (2024)
pp.529~557
초등학교 교사의 공황장애 발병과 회복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 연구는 연구자가 초등학교 교사로서 근무하며 경험한 공황장애의 발병과 회복과정에 대 한 자문화기술지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2019년 2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총 4년 7개월간의 다양한 회상자료(지인과의 통화 녹취록, 일기, SNS자료, 수필, 배우자의 연구자 관찰 기록)를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직 생활 중에 발병한 공황장애의 경험 은 크게 두 개의 핵심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번째 핵심범주는 ‘공황장애의 발병과 재 발’로서, ‘공황장애를 유발하는 동료교사의 모습’, ‘공황장애를 유발하는 관리자의 모습’, ‘공 황장애를 유발하는 학생과 학부모의 모습’의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핵심범주인 ‘공황장애에서 회복하기 위한 노력’에서는 ‘나를 향한 격려와 지지로 다시 학급으로 돌아갈 힘을 얻음’, ‘자기돌봄으로 내면의 힘을 키움’의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공황장애를 연구 자 개인의 문제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초등학교 교직 문화와 직무환경이 교사에게 공황장 애를 유발할 수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Autoethnography: The Onset and Recovery Process of Panic Disorder in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his study is an autoethnographic study on the onset and recovery process of panic disorder experienced by the researcher while working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this study, various recollection data (transcripts of phone calls with acquaintances, diaries, SNS data, essays, and researcher’s spouse’s observation records) for a total of 4 years and 7 months from February 2019 to September 2023 were analyzed using the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panic disorder that occurred during teaching life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wo major areas. The first major area was ‘Onset and recurrence of panic disorder’, and three major categories were derived: ‘Appearance of fellow teachers who cause panic disorder’, ‘Appearance of administrators who cause panic disorder’, and ‘Appearance of students and parents who cause panic disorder’. In the second major area, ‘Efforts to recover from panic disorder’, two major categories were derived: ‘Gaining strength to return to class through encouragement and support for myself’ and ‘Developing inner strength through self-care’. This study does not view panic disorder as the researcher’s personal problem, but rather reveals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ing culture and work environment can cause panic disorder in teachers, and through this,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intervention measures to prevent and support teachers’ panic dis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