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검색
pISSN : 2005-3231
초등상담연구, Vol.23 no.4 (2024)
pp.581~603
아동용 비자살적 자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이 연구는 죽고자 하는 의도 없이 자신의 신체를 직접적, 의도적으로 해를 끼치거나 훼손하는 행위(Nock, 2009) 인 비자살적 자해(Non-Suicidal Self-Injury, NSSI)에 대한 아동용 비자살적 자해 척도(NSSI-C)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2023년 2년에 걸쳐 경상남도 소재 초등학생 4~6학년 아동 873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용 비자살적 자해 척도(NSSI)의 1부 ‘비자살적 자해 행동의 종류’와 2부 ‘비자살적 자해의 이유’의 2개 하위척도에 대한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 석하였다. 첫째, 1부 ‘비자살적 자해 행동의 종류’ 척도는 14개 문항 중 요인부하량이 낮은 4개 문항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때리기와 뽑기’, ‘피부손상’의 2가지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부 ‘비자살적 자해 행동의 이유’ 척도 는 30개 문항 중 요인부하량이 낮은 11개 문항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개인적 기능’, ‘사회적 기능’의 2가지 하 위요인을 도출하였다. 둘째, NSSI-C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내적 합치도(Cronbach's α)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토하였다. 1부 ‘비자살적 자해 행동의 종류’의 내적 합치도는 .74, 교정된 상관계수(corrected-r)로 확인한 검사-재 검사 신뢰도는 .70이었다. 2부 ‘비자살적 자해 행동의 이유’의 내적 합치도는 .91, 교정된 상관계수로 확인한 검 사-재검사 신뢰도는 .72로 두 척도 모두 양호한 신뢰도를 보였다. 셋째, 아동용 비자살적 자해 척도의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7개 타당도 지표와의 상관을 구하였다. 그 결과, 1부, 2부 두 척도 모두 스트레스 인, 부정 긴급성, 반추, 불안, 우울, 분노, 파괴적 행동, 자살사고와는 정적 상관,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 긍정 적 정서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을 대상으로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진 단할 수 있는 아동용 비자살적 자해 척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 구에서는 아동의 비자살적 자해에 관한 임상, 비임상 집단과 전국 단위의 사례 파악을 통한 교차타당화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on-Suicidal Self-Injury Scale fo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on-suicidal self-injury scale for children(NSSI-C), an act of directly and intentionally harming or damaging one's body (Nock, 2009), without the intention of dying. To this end, data from 873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4th to 6th grades in Gyeongsangnam-do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ver two years from 2022-2023. The NSSI-C consists of two subscales: Part 1 ‘Type of Non-Suicide Self-Injuries Behavior’ and Part 2 ‘Reason for Non-Suicide Self-Injuries’,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scale were analyzed. First, the Part 1 ‘Type of Non-Suicide Self-Injuries Behavior’ scale was found to be two sub-factors of ‘skin damage’ and ‘Slapping and hair plucking’ as a result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10 items that removed 4 items with a low factor load out of 14 items. The Part 2 ‘Reason for Non-Suicide Self-Injuries’ scale was found to be two sub-factors of ‘personal function’, ‘social function’ as a result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19 literary activities that removed 11 items with a low factor load out of 30 items. Second, in order to find out the reliability of the non-suicide self-injury scale (NSSI-C) for children, the internal agreement (Cronbach's α)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ere reviewed. The internal agreement of Part 1 ‘the type of non-suicide self-harm behavior’ was .74,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nfirmed by the corrected correlation coefficient (Corrected-r) was .70. The internal agreement of Part 2 ‘the reason for non-suicide self-harm behavior’ was .91,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nfirmed by the correcte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72, indicating good reliability on both scales. Third, the correlation with seven validity indicators was calculated to find out the convergence and discrimination validity of NSSI-C. NSSI-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negative urgency, rumination, anxiety, depression, anger, destructive behavior, and suicide accident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SSI-C that can diagnose non-suicide self-injury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In the follow-up study,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cross-validate the case of non-suicide in children through identification of clinical and non-clinical groups and national levels.